살아가면서 내가 알게 된 것들
Git을 사용함에 있어 유용한 것들을 정리해 본다. git diff 시에 특정 폴더 혹은 파일을 제외하고 보고 싶을 때git diff ":(exclude)제외하고자하는 폴더, 파일의 글자"즉, git diff 이후에 " " 사이에 제외하고자 하는 폴더의 특정 글자를 적고 해당 글자 앞에 세미콜론(:)과 '(exclude)' 를 (괄호도 포함) 넣는다. 예를 들어 deprecated 라는 글자가 있는 폴더는 제외하고 그외 폴더의 diff만 보고 싶다면git diff ":(exclude)*deprecated*" 라고 하면 된다.(exclude) 대신에 ^를 사용해도 된다. -> git diff ":^* deprecated*" 도 가능10/11일 main 브랜치로 부터 1011base_local 이라는 이름..
Linux terminal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Powershell에서 이런 command는 없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내가 하다가 아는 것들을 끄적여 본다. linux 명령어 powershell 명령어 설명 find -name "파일명, 폴더명" Get-ChildItem [시작 위치] -Name "파일명, 폴더명" -Recurse 시작위치 로부터 파일명, 폴더명을 찾아서 list를 보여준다. Power shell을 쓰다가 CMD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둘이 Command도 다른부분이 존재한다. 그래서 아래는 Power Shell과 CMD의 동일한 동작에 대한 command를 정리해 보았다. Power Shell 명령어 CMD 명령어 설명 ii . start . 파일 탐색기 열기 이때 c..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면서 알게된 것들 1. 함수 이름을 지을때 신중해라 - 딱 봐도 이런걸 하는 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함수명을 만들어라 - 인자 이름도 함수 이름과 같은 맥락이어야 한다 - 함수명 룰을 만들어라 (예를 들어 모듈(기능)명_동사_목적어) 2. 되도록이면 enum 혹은 define을 사용해라 - 변수에 값을 넣을 때 10, 2 와같이 숫자를 그대로 넣기보단 10이 의미하는 define이나 enum을 사용해서 현재 이 값을 어떤 의미로 넣는지 알려주는게 좋다

임베디드 관련 작업을 하다보면 hex값으로 byte계산을 많이 하게 된다. 그래서 이 글을 써본다. 1byte와 16진수 관계 1byte는 8bit이다. 1bit에는 0과 1만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8bit는 00000000 ~ 11111111 범위가 된다. 16진수를 적을 때 기존 10진수와 구분하기 위해 0x를 앞에 붙인다. 예를들어 0x1 은 16진수로 1(일)을 뜻한다. 0x10 이라면 16진수로 10(십)을 뜻한다. 16진수를 사용한다면 2진수를 조금 더 보기 편하게 해준다. 16진수 20(이십, 0x20)은 10진수로 32(삽십이)이고 이것은 2진수로 100000(일영영영영영) 이다. 100000을 4개씩 끊어보면 10 0000 이라고 쓸 수 있다. 즉, 0x20 = 10 0000 이다. ..

인사이트 임베디드 OS 개발 프로젝트 (이만우 저) 책을 공부하면서 같이 알면 좋을 것 같은 것들과 책 만들때(2020)와 현재(2023년)와의 차이로 인해 책과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 적어보자. 1.컴파일러 (gcc-arm-none-eabi) 설치 LTS 20.02 이상 버전을 사용한다면 책에서 sudo apt install gcc-arm-none-eabi 를 보내는 부분을 Skip하고https://goobgood.tistory.com/31 를 참고 하길 바란다. LTS 20.02 에서 sudo apt install gcc-arm-none-eabi를 사용하면 gcc-arm-none-gdb가 없기 때문에 다시 지우고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2. GDB명령어 저자가 처음에는 gdb명령어를 하나하나..

스마트폰(모바일) 앱에서 글 읽다가 나중에도 봐야지 하고 좋아요 표시한 글들을 PC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단, 여기서는 카페에서 좋아요 한 글만 적는다. 블로그는 아직 잘 안해서 모름... 모바일 앱에서 좋아요 한 글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 가입한 카페로 들어간다. 삼선(=같은것) 눌른다 내 계정 이름을 터치한다. 좋요아한 글 tab에들어간다. PC에서 좋아요한 글 목록 확인 하는 법 PC에서 네이버 카페 홈으로 들어간다. 가입한 카페로 들어간다. 나의 활동을 클릭한다. (그림참고) 내가 쓴 글 보기를 클릭한다. (그림 참고) 좋아요한 글 tab에 들어간다. 출처 : 네이버 고객센터에 물어봄...
visual studio 2017로 thread공부하는데 pthread는 win32용이 아니라 linux계열용이란다. 때문에 GCC라면 pthread를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Visual Studio 2017라면 한가지 해줘야 한다. 방법은 아래에서 찾았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8894212/visual-studio-2017-how-to-make-include-pthread-h-work 처음 찾은 방법은 아래 site인데 http://plming.tistory.com/62 오래되기도 했고 하기도 귀찮고 해서 다른 방법이 없나 찾다가 알게 된 방법이 아래 방법이다. Project -> Manage NuGet Packages... Browse -> pthread..